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05-02 00:03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개발일지>>

버퍼링이란? 본문

네트워크

버퍼링이란?

개발하는지호 2024. 11. 3. 22:05

 

버퍼링이란 ?

 버퍼링은 동영상 콘턴츠를 스트리밍할 때 데이터 세그먼트를 미리 로드하는 방식이다. 스트리밍은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오디오 또는 비디오 파일을 지속해서 전송하는 것으로, 온라인에서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세스이다. 버퍼링은 전체 동영상이 로드되기 전에 동영상 재생을 시작할 수 있으므로 스트리밍을 더욱 원활하게 실행하는 데 도움이 된다. 버퍼링 프로세스 덕분에 연결이 잠시 끊기더라도 미리 로드된 콘텐츠가 계속 스트리밍 된다. 

 

 

 

버퍼링은 스트리밍 프로세스의 핵심 구성 요소이다. 그러나 많은 시청자는 이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고 버퍼링이 느리게 발생하거나 스트리밍이 중단될 때만 버퍼링 프로세스를 인지한다. 그런 이유로 시청자는 콘텐츠 로딩 지연을 설명할 때 "버퍼링"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다.

 

 

버퍼링을 쉽게 설명하자면, 식품점의 재고 및 진열 프로세스에 비유할 수 있다. 매장에서는 재고를 유지하여 진열대를 쉽게 다시 채우고 고객 불편을 예방할 수 있다. 식품점 고객은 일반적으로 원하는 품목의 재고가 없는 경우가 아니면 재고 확인 절차에 대해 생각하지 않고 쇼핑한다. 같은 방식으로 동영상 플레이어는 시청 환경을 방해하지 않도록 동영상 세그먼트를 미리 로드한다.

 

 

동영상 세그먼트란?

모든 스트리밍 동영상은 몇 초 길이의 작은 세그먼트, 즉 동영상 프레임으로 나뉜다. 이렇게 하면 전체 동영상 파일을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한 번에 전송할 필요가 없으며, 동영상의 일부만 로드한 상태에서 스트리밍을 시작할 수 있다. 동영상이 재생되기 시작하면 나머지 세그먼트가 로드되고 준비가 완료되면 재생된다.

 

버퍼링이 가끔 오래 걸리는 이유는?

버퍼링은 여러 가지 이유로 느려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문제는 사용자 측 또는 네트워크 측에서 발생하며, 후자는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ISP) 또는 스트리밍 플랫폼을 의미한다.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는 KT, LG유플러스, SK브로드밴드 등 대형 사업자, 드림라인, 온세텔레콤 등 중소 사업자. 씨앤앰, 티브로드, CJ헬로비전, HCN 등 케이블 TV 업체. 삼성 SDS, LG CNS, 효성ITX 등 대기업 계열의 IT 서비스 기업 등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해준다.

 


 

요새 AWS 공부를 하면서 "버퍼링" 이라는 단어를 보게 되었다.

 

많이 듣자나 버퍼링 ㅋㅋ

 

맞다 많이 들었다. 하지만,

 

되게 부정적인 단어로 인지가 되어 있다.

 

"버퍼링 걸렸다...." 

 

라는 말이 우리들 사이에 "버벅 거린다 ~ 라는 늬앙쓰"로 아주 많이 하고 있다.

 

그러나

 

그런 의미가 아니었다.. ㅋㅋ

 

원리를 파악해보니 동영상을 보는 우리에게 크나큰 도움을 주는 존재였다.

 

오늘도 좋은 공부였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