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리눅스
- dbeaver
- 글로벌소프트웨어캠퍼스
- https
- 우리FIS아카데미
- K-디지털트레이닝
- jdk
- 맥OS
- mysql
- AWS
- 우리FISA #
- 맥북
- 우리에프아이에스 #
- 우리FISA
- Gradle
-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
- spring
- 로드밸런스
- springboot
- Java
- 우리에프아이에스
- sts
- 도메인
- 맥
- M2
-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 #
- HTTP
- 우리FIS아카데미 #
- route 53
- Today
- Total
목록내가이해하기위한흐름도와방법 (3)
<<개발일지>>

일반적으로 Connector - j 를 classpath에 넣었었는데 여기서는 lib 밑에다가 넣 는다. 그리고 html 클라이언트 쪽은 WEB-INF에 넣고 나머지 자바 서버측 코드는 java는 java 밑에 둔다.

Servlet을 연결하고 웹 경로 설정하는 법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우선, 첫째는 web.xml에 들어가서 연결할 서블릿을 서블릿 이름(MyFirstServlet) 서블릿 클래스 (dev.syntax.step01helloservlet.FirstServlet) 를 입력해서 서블릿 이름을 정의한다. 그 다음, 에 서블릿 이름(MyFirstServlet)을 입력하고 에 어떤 경로를 입력했을 때 이 서블릿을 실행할지 작성한다. 두 번째 방식은 @WebServlet() 안에 이름과 경로를 적는 방식이다.

Eclipse 기반 File -> new -> Dynamic Web Project 순서대로 실행을 한다. 그 다음, Project name을 입력하고 Dynamic web module version은 4.0 으로 설정한다. 이는 Tomcat 9.0에서 지원하는 Servlet API의 버전은 4.0 이기 때문이다. next 를 하다보면 Context root가 있는데 프로젝트 이름으로 해준다. Context root는 웹 상에서 해당 프로젝트(웹 서버 프로그램)에 접근하기 위한 루트 경로이다. ex) "www.naver.com" 일 때 naver를 의미한다. 그 다음, 하고자하는 것을 설정하고 서버를 실행 run on server를 할 때 tomcat을 경로에 추가시켜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톰캣을 다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