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 #
- 우리FIS아카데미
- Gradle
- route 53
- 맥OS
-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
- Java
- https
- 우리FISA
- M2
- 우리에프아이에스 #
- jdk
- 맥
- HTTP
- 우리에프아이에스
- springboot
- 맥북
- 우리FISA #
- mysql
- dbeaver
- 글로벌소프트웨어캠퍼스
- 우리FIS아카데미 #
- AWS
- spring
- 리눅스
- sts
- 도메인
- 로드밸런스
- K-디지털트레이닝
- Today
- Total
목록servlet, jsp (10)
<<개발일지>>
과거에 한 번 만들어 봤지만, 한 번 더 개념을 정리하고 머릿속에 장기 기억 시키기 위해 추가 복습을 진행 했다. URL에 앤드포인트 다음 쿼리 스트링이 자바(스프링)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돌아가는 것인가?? 간단하게 요약을 한다면, Spring MVC 구조로 작동하게 된다.1. Controller (컨트롤러) : 클라이언트 요청을 받아 서비스 레이어에 전달하고, 처리된 결과를 반환한다. 2. Service (서비스) :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며, 필요한 경우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한다. 3. Repository (리포지토리) : 데이터베이스와 직접 상호작용하며, 데이터 조회, 저장, 삭제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예시 1. Entity 클래스 (책정보)import javax.persistence.Ent..

1. Model - View - Controller Model 개발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에서 요구되는 관심사이자 데이터를 추상화, 모델링하여 표현된 결과 클래스 View Model을 UI Presentation 에 표시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클래스 Controller 사용자와 시스템을 이어주는 가교 역할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 Model 조작, View를 적절하게 업데이트 하는 역할을 수행 2. 관심사의 분리 이러한 MVC 패턴의 핵심은 본질적으로 서로 다른 역 할을 담당하는 로직을 역할 미 용도에 따라 분리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디자이너는 심미적인 요소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배치를 위한 레이아웃에만 집중하고, 개발자는 서비스의 동작에 필요한 로직 작성에만 집중하듯이 MVC는 이러한 각 역할에 ..
JSP, Java Server Page JSP는 간단하게 Java code in HTML을 의미한다. 서블릿 기반 HTML 페이지 구현에서 봤듯이, Java 코드에 HTML을 문자열 형태로 작성하기엔 무리가 있다. 따라서, HTML 문서에 Java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 더 편리할 것 같다는 취지에서 등장했다. *Servlet 기반 구현과 기능은 동일 MVC 패턴의 등장 비즈니스 로직은 서블릿처럼 다른 곳에서 처리 JSP는 목적에 맞게 HTML 화면을 그리는 일에만 집중 Controller(컨트롤러) : HTTP 요청 받아서 파라미터 검증, 비즈니스 로직 수행 Model(모델) : 뷰에 출력할 데이터 보관, 뷰는 화면 렌더링에만 집중이 가능 View(뷰) : 모델에 담겨있는 데이터를 사용해서 화면을 그리는..

1. 경로 이동 방법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일련의 처리가 수행 중인 서블릿에서 다른 서블릿으로 이동하여 다른 처리도 수행해야 할 경우, 이동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 이다. 1-1 Forward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전송할 경우, 처음 전송한 Servlet 뿐만 아니라 다른 Servlet을 거쳐서 응답을 받는 케이스 서블릿 컨테이너 내부에서 서로 다른 서블릿 간에 요청이 진행된다. 서블릿 컨테이너 내부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입장에서는 URL이 바뀌지 않은 URL 경로 만으로 해당 요청이 다른 요청을 가진 서블릿(페이지)로 이동했는지 파악하기 힘들다. 특징 서블릿 내부에서 요청이 그대로 이어지기 때문에 Servlet1에서 Servlet2로 이동할 때 request, response 객체가 유지되어서 ..
Http 프로토콜의 특성 중 하나는 무상태(Stateless)로 동작한다는 것 따라서 이전에 연결된 시점의 상태 정보를 서버가 유지해주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상태 정보를 일정 시간 동안 유지시키기 위해 특정 기술이 필요하다 이는 상태 정보를 클라이언트 쪽에 보관 혹은 서버 쪽에서 보관하는지에 따라 쿠키(Cookie)와 세션(Session)으로 구분된다. *상태 정보(State Information) -> 지속적인 클라이언트의 요청(화면 전환)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한 정보(ex. 로그인 정보) 이러한 상태 정보 유지 기술은 크기 저장 위치와 저장 기간에 따라 분류된다. 1. 저장 위치에 따른 분류 1-1 클라이언트 측에 저장 - Cookie 웹 브라우저에 저장한다는 의미 - javax.servle..
1. 한글 깨짐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의 응답 메시지 전송 과정에서 기본적으로 포함해야 할 내용이다. 보내는 데이터 타입 = text/html 인지, json 인지 등 인코딩 할 문자셋(Charset) 정보 = UTF-8인지, cp949 인지 등 작성자(개발자)가 별도로 명시하지 않을 경우 응답 형식의 기본값으로 처리된다. 기본 문서 타입 : text/html 문자셋 정보 : 8859_1(한글 지원 x) 따라서 다음과 같이 ???가 나오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응답 정보 헤더에 데이터의 문서 타입과 한글을 지원하는 문자셋을 설정해야한다. resp.setContentType("text/html;charset=UTF-8"); 2. Servlet 사용시 한글 깨짐 현상 처리 한글의 처리 방식은 GET과 POST가..
1. Servlet 개요 Servlet은 주로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 구현 시 사용한다. 동시 접속자가 늘어나면 효율이 떨어지는 CGI기술의 대안으로 등장했다. 서블릿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서버가 실행할 수 있는 유일한 자바 파일 이라고 볼 수 있다. 서블릿을 동작시키기 위한 조건은 서블릿 API를 통해 제공받은 수 있으며, 서블릿을 구현할 때 해당 API인 javax.servelt.http.HttpSevlet 만 상속 받으면 된다. class HelloServlet extends HttpServlet {} 2. Servlet 생성 및 동작 원리 1. Servlet Container(ex. Apache Tomcat) 서블릿 컨테이너란 Java 기반 웹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Ser..
1. Web Server, 웹 서버 정적 리소스(HTML, CSS, JS, 이미지, 영상 등)을 제공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2. Web Application Server, WAS,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흔히 WAS, 와스, 컨테이너, 웹 컨테이너, 서블릿 컨테이너로 불리고 DB조회 및 다양한 로직 처리 요구시 동적인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진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동적 컨턴츠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컨테이너란 JSP, Servlet을 실행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이다. 즉, WAS는 JSP, Servlet 구동 환경을 제공해준다. WAS는 WS(web server)와 웹 컨테이너가 결합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웹 서버의 기능들을 구조적으로 분리하여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