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
- route 53
- jdk
- mysql
- HTTP
- 도메인
-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 #
- 우리FISA #
- Gradle
- M2
- spring
- 맥OS
- https
- 맥북
- dbeaver
- 우리FISA
- 맥
- AWS
- 글로벌소프트웨어캠퍼스
- springboot
- 우리FIS아카데미
- sts
- 우리에프아이에스 #
- 로드밸런스
- 우리FIS아카데미 #
- 우리에프아이에스
- 리눅스
- K-디지털트레이닝
- Java
- Today
- Total
목록리눅스 (13)
<<개발일지>>
ls 명령어논리적 크기: 파일의 크기를 논리적으로 표시합니다. 즉, 파일이 실제로 가지고 있는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냅니다.최대 사용할 수 있는 용량: 파일의 크기가 데이터의 양을 기반으로 표시되므로, 파일이 최대 사용할 수 있는 용량을 나타냅니다.du 명령어실제 디스크 사용량: 파일이 디스크에서 실제로 차지하는 공간을 표시합니다. 파일 시스템의 블록 크기와 내부 단편화 등을 고려한 결과를 보여줍니다.최소 블록 단위: 파일 크기가 작더라도 최소 블록 단위(예: 4KB)만큼 디스크 공간을 사용합니다. 이는 파일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최소 단위이기 때문입니다.예시로 요약예시 1: 작은 파일파일 크기: 1바이트블록 크기: 4KBsh코드 복사# 작은 파일 생성 echo -n "a" > tiny_file.t..
iconv이 명령어는 파일의 인코딩을 변환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한글 파일이 EUC-KR로 인코딩되어 있을 때, 이를 UTF-8로 변환하여 다른 시스템이나 애플리케이션에서도 읽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주로 리눅스와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에서 사용된다. 기본 구문iconv -f -t -o -f : 원본 파일의 인코딩을 지정한다.-t : 변환할 인코딩을 지정한다. : 인코딩을 변환할 대상 파일이다.-o : 변환된 결과를 저장할 파일을 지정한다. 예시 1. EUC-KR에서 UTF-8로 변환iconv -f EUC-KR -t UTF-8 input.txt -o output.txtinput.txt 파일을 EUC-KR에서 UTF-8로 변환하고, 결과를 output.txt에 저장한다. 2. UTF-..
나는 이전까지 폴더 하면 파일들을 저장하는 하나의 '공간' 이라고 생각했다. 그 결과, ls -alh를 사용하면 해당 폴더가 차지하는 용량이 나오는데 만약 4.0K 이면 폴더 내부에 총 4.0KB 파일들만 들어갈 수 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게 아니었다. > 파일들이 들어있는 실제 데이터 공간이 아니라, 그 안에 들어 있는 "파일 및 하위 폴더들을 관리하기 위한 구조" 이다. 폴더 자체는 메타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폴더 안에 파일과 디렉토리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유지한다. 조금 더 깊게 파악한다면. 폴더의 역할 1. 파일 및 하위 디렉토리 관리폴더는 그 안에 있는 파일들과 하위 폴더들의 이름, 위치, 권한, 타임스탬프 등을 관리한다.폴더 자체는 이러한 메타데이터만을 포함하며, ..

우리가 리눅스에서 환경변수 설정을 할 때 'export'를 활용한다. ex) 그럼 도대체 export의 의미가 뭘까? 왜 하는 것일까 export : 이 명령어는 쉘 환경에서 환경 변수를 설정하고, 그 변수를 현재 쉘과 그로부터 시작된 모든 하위 프로세스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명령어이다. 즉, 'export'를 사용하여 변수를 내보내면, 해당 변수가 자식 프로세스에도 전파된다. 실험우선, export 없이 그냥 변수를 설정하면$ MY_VAR="Hello, World!"$ echo $MY_VARHello, World! 위 코드처럼 출력이 된다. 하지만, $ bash -c 'echo $MY_VAR' 다른 프로세스를 생성하고 출력을 하게 되면 출력이 되지 않는다. 그렇다면 export를 사용한다면$ e..

Linux에서 매번 사용하는 'll' 이라는 명령어가 있다. 이는 도대체 무슨 약자일까? 우선 alias를 터미널에 처보자. 그러면 위의 사진처럼 나타난다. 이는 alias의 뜻 처럼 긴 명령어를 별칭으로 지정해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ll' 명령어는 이 서버 기준으로 'ls -l'로 정의 되어 있다. 'ls' 명령어는 list의 줄임말로 윈도우의 'dir(directory)' 명령어와 비슷한 리스트를 보여주는 명령어이다. -a 옵션을 주면 숨김파일을 함께(all), -l은 권한, 소유자 등을 리스트와 함께(long), 그리고 -h옵션은 -l옵션과 함께 파일 크기를 사람이 보기 좋게(human) 리스트를 확인 할 수 있다. 그 외에도 -r, -R, -s 등의 옵션이 있다. 결과..
공개키 비밀키 관련해서 서로 접속하는 과정에서 권한 문제로 비밀번호를 쳐서 들어가야 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stackoverflow를 참고한 결과, 우선 비밀번호를 통해 접속한 후에 chmod 755 ~ 를 입력하여 권한을 변경하면 된다고 했다. https://unix.stackexchange.com/questions/205842/unable-to-login-with-ssh-rsa-key Unable to login with SSH-RSA keyThis post is following this question : Authentication refused: bad ownership or modes for file /var/git/.ssh/authorized_keys . The issue..
CentOS 7를 다루는 와 중에 yum 패키지 관리 툴로 nginx설치가 필요했다. 하지만, CentOS7은 기본 저장소에 nginx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외부 저장소에서 가져와서 다운로드 해줘야 한다. 그렇다면 외부 저장소가 정확하게 무엇인가?? 외부 저장소는 운영 체제의 기본 저장소에 포함되지 않은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포함하고 있는 추가적인 소스입니다. 이러한 외부 저장소는 기본 저장소에서 제공하지 않는 더 많은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제공하거나, 더 최신 버전의 패키지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외부 저장소의 의미운영 체제의 패키지 관리 시스템(예: yum 또는 dnf)은 일반적으로 여러 저장소(repository)를 참조하여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고 설치합니다. 각 저장소는 특정 소프트웨어 ..
이 오류는 startup.sh 스크립트 파일이 Windows 형식의 줄바꿈(\r\n)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발생한다. 유닉스 / 리눅스 시스템에서는 LF(\n) 형식의 줄바꿈을 사용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Windows에서 작성된 스크립트를 리눅스 환경으로 옮길 때 자주 발생한다. 해결 방법 1. Vim에서 파일을 연다.2. 명령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를 입력한다.3. 다음 명령어를 입력한다.:set ff=unix 또는,:set fileformat=unix 이후, :wq 로 저장하고 나온다. 결과,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현재 열령 있는 파일의 줄바꿈 형식이 Unix 형식으로 변경이 된다. 즉, Unix 형식에서는 각 줄이 LF 문자로 끝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