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04-29 06:55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개발일지>>

[스택] 5. 쇠막대기 본문

코딩테스트

[스택] 5. 쇠막대기

개발하는지호 2024. 1. 13. 17:45
5. 쇠막대기
 

설명

여러 개의 쇠막대기를 레이저로 절단하려고 한다.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서 쇠막대기를 아래에서 위로 겹쳐 놓고,

레이저를 위에서 수직으로 발사하여 쇠막대기들을 자른다. 쇠막대기와 레이저의 배치는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 쇠막대기는 자신보다 긴 쇠막대기 위에만 놓일 수 있다. - 쇠막대기를 다른 쇠막대기 위에 놓는 경우 완전히 포함되도록 놓되,

끝점은 겹치지 않도록 놓는다.

• 각 쇠막대기를 자르는 레이저는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 레이저는 어떤 쇠막대기의 양 끝점과도 겹치지 않는다.

아래 그림은 위 조건을 만족하는 예를 보여준다. 수평으로 그려진 굵은 실선은 쇠막대기이고, 점은 레이저의 위치,

수직으로 그려진 점선 화살표는 레이저의 발사 방향이다.

이러한 레이저와 쇠막대기의 배치는 다음과 같이 괄호를 이용하여 왼쪽부터 순서대로 표현할 수 있다.

1. 레이저는 여는 괄호와 닫는 괄호의 인접한 쌍 ‘( ) ’ 으로 표현된다. 또한, 모든 ‘( ) ’는 반 드시 레이저를 표현한다.

2. 쇠막대기의 왼쪽 끝은 여는 괄호 ‘ ( ’ 로, 오른쪽 끝은 닫힌 괄호 ‘) ’ 로 표현된다.

위 예의 괄호 표현은 그림 위에 주어져 있다.

쇠막대기는 레이저에 의해 몇 개의 조각으로 잘려지는데, 위 예에서 가장 위에 있는 두 개의 쇠막대기는 각각 3개와 2개의 조각으로 잘려지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주어진 쇠막대기들은 총 17개의 조각으로 잘려진다.

쇠막대기와 레이저의 배치를 나타내는 괄호 표현이 주어졌을 때, 잘려진 쇠막대기 조각의 총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한 줄에 쇠막대기와 레이저의 배치를 나타내는 괄호 표현이 공백없이 주어진다. 괄호 문자의 개수는 최대 100,000이다.

출력

잘려진 조각의 총 개수를 나타내는 정수를 한 줄에 출력한다.

예시 입력 1 

()(((()())(())()))(())

예시 출력 1

17

예시 입력 2 

(((()(()()))(())()))(()())

예시 출력 2

24

힌트

한국정보올림피아드

 

<<풀이>>

 

-나의 풀이-

 

시간복잡도 : O(N)

 

이 문제는 스택이나 큐를 유도한 거 같은데 나는 사용하지 않고 풀었다 ㅋㅋㅋ

 

우선, 하나의 막대기를 한 번 자르면 2개되고 2번 자르면 3개가 되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전체적인 흐름은 '('이면 다음 데이터에 따라 쇠막대기일 수도 레이저 일 수도 있다. 일단은 쇠막대기일 확률을 배재할 수 없기 때문에

쇠막대기를 추가해준다. 그리고 레이저가 발사 되었을 때 추가될 값을 누적해준다. 

 

그다음 데이터를 확인했을 때 ')'이면 레이저가 되므로 기존 쇠막대기라고 생각해서 더해준 값을 빼준다. 그리고 레이저가 발사 되었을 때 추가될 값 역시 빼준다. 

 

그리고 현재 쇠막대기 갯수에서 레이저로 인해 생겨서 더해진 쇠막대기를 누적했던 값으로 더해준다.

 

만약 바로 다시  ')'이 들어오게 되면 이것은 레이저가 아니고 쇠막대기의 끝 부분이므로 조건을 달아서 레이저로 인해 발생할 추가 쇠막대기 누적값을 빼준다.

 

이렇게 보면 되게 헷갈린다 ㅋㅋㅋ 나도 설명하면서 조금 헷갈리는데 ㅠㅠ

 

코드에 이해하기 쉽게 명칭을 적어놨다.

 

totaldesk -> 쇠막대기

forplusdesk -> 레이저가 발생하면 더해줘야할 쇠막대기 누적값

notlazer -> 0이면 레이저이고 1이면 레이저가 아니다.

 

import java.util.Scanner;

class Main {
    private int solution(String str) {
        int forplusdesk = 0, notlazer = 0;
        int totaldesk = 0;

        for(char x : str.toCharArray()) {
            if(x == '(') {
                forplusdesk++;
                totaldesk++;
                notlazer = 0;

            } else {
                if(x == ')' && notlazer != 1) {
                    notlazer = 1;
                    totaldesk--;
                    forplusdesk--;
                    totaldesk += forplusdesk;
                } else forplusdesk--;
            }
        }
        return totaldesk;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ain T = new Main();
        Scanner in = new Scanner(System.in);
        String str = in.next();
        System.out.println(T.solution(str));
    }
}

 

 

-강사님 풀이-

시간 복잡도 : O(N)

 

import java.util.Scanner;
import java.util.Stack;

class Main {
    private int solution(String str) {
      Stack<Character> stack = new Stack();
      int answer = 0;
      for(int i = 0; i < str.length(); i++) {
          if(str.charAt(i) == '(') stack.push(str.charAt(i));
          else {
              stack.pop();
              if(str.charAt(i - 1) == '(') answer += stack.size();
              else answer++;
          }
      }
      return answ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ain T = new Main();
        Scanner in = new Scanner(System.in);
        String str = in.next();
        System.out.println(T.solution(str));
    }
}

 

역시 스택을 사용하셨다. 내가 이전에 스택을 활용하지 못한 이유가 접근 방식을 강사님과 달랐기 때문이다. ㅋㅋ 나는 자르면 두개가 되는 즉, 한 번 자르면 2개 두 번 자르면 3개 이렇게 늘어간다고 생각했고

 

강사님은 한 번 자르면 잘려나간 갯수를 더해줬다. 그렇기 때문에 나처럼 기존 막대기 갯수의 변수와 레이저로 인해 추가될 막대기 수를 더해줄 변수가 필요가 없다. 

 

즉, 조금 더 직관적이고 효율적으로 코드를 짠 것이다 !!

 

대신 강사님은 막대가 끝나는 점에서 answer++하게 되면서 마지막까지 분리된 막대기를 더해줬다.

 

오늘도 배워간다 ㅎㅎ

'코딩테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큐] 7. 교육과정 설계  (1) 2024.01.13
[큐] 6. 공주 구하기  (1) 2024.01.13
[스택] 4. 후위식 계산  (0) 2024.01.10
[스택] 3. 크레인 인형뽑기  (1) 2024.01.10
[스택] 2. 괄호문자제거  (1) 2024.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