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mysql
- Gradle
- spring
- jdk
- 우리FIS아카데미 #
- 리눅스
- 우리에프아이에스 #
- K-디지털트레이닝
- https
- 도메인
- AWS
- 우리FISA #
- M2
- 맥OS
- springboot
- 글로벌소프트웨어캠퍼스
- HTTP
- 우리FIS아카데미
- Java
- 로드밸런스
- dbeaver
-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 #
- sts
- route 53
- 우리FISA
-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
- 맥북
- 맥
- 우리에프아이에스
- Today
- Total
<<개발일지>>
[스택] 3. 크레인 인형뽑기 본문
설명
게임개발자인 죠르디는 크레인 인형뽑기 기계를 모바일 게임으로 만들려고 합니다.
죠르디는 게임의 재미를 높이기 위해 화면 구성과 규칙을 다음과 같이 게임 로직에 반영하려고 합니다.

게임 화면은 1 x 1 크기의 칸들로 이루어진 N x N 크기의 정사각 격자이며 위쪽에는 크레인이 있고 오른쪽에는 바구니가 있습니다.
(위 그림은 5 x 5 크기의 예시입니다). 각 격자 칸에는 다양한 인형이 들어 있으며 인형이 없는 칸은 빈칸입니다.
모든 인형은 1 x 1 크기의 격자 한 칸을 차지하며 격자의 가장 아래 칸부터 차곡차곡 쌓여 있습니다.
게임 사용자는 크레인을 좌우로 움직여서 멈춘 위치에서 가장 위에 있는 인형을 집어 올릴 수 있습니다. 집어 올린 인형은 바구니에 쌓이게 되는 데,
이때 바구니의 가장 아래 칸부터 인형이 순서대로 쌓이게 됩니다.
다음 그림은 [1번, 5번, 3번] 위치에서 순서대로 인형을 집어 올려 바구니에 담은 모습입니다.

만약 같은 모양의 인형 두 개가 바구니에 연속해서 쌓이게 되면 두 인형은 터뜨려지면서 바구니에서 사라지게 됩니다.
위 상태에서 이어서 [5번] 위치에서 인형을 집어 바구니에 쌓으면 같은 모양 인형 두 개가 없어집니다.

크레인 작동 시 인형이 집어지지 않는 경우는 없으나 만약 인형이 없는 곳에서 크레인을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또한 바구니는 모든 인형이 들어갈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다고 가정합니다. (그림에서는 화면표시 제약으로 5칸만으로 표현하였음)
게임 화면의 격자의 상태가 담긴 2차원 배열 board와 인형을 집기 위해 크레인을 작동시킨 위치가 담긴 배열 mov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크레인을 모두 작동시킨 후 터트려져 사라진 인형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입력
첫 줄에 자연수 N(5<=N<=30)이 주어집니다.
두 번째 줄부터 N*N board 배열이 주어집니다.
board의 각 칸에는 0 이상 100 이하인 정수가 담겨있습니다.
0은 빈 칸을 나타냅니다.
1 ~ 100의 각 숫자는 각기 다른 인형의 모양을 의미하며 같은 숫자는 같은 모양의 인형을 나타냅니다.
board배열이 끝난 다음줄에 moves 배열의 길이 M이 주어집니다.
마지막 줄에는 moves 배열이 주어집니다.
moves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1,000 이하입니다.
moves 배열 각 원소들의 값은 1 이상이며 board 배열의 가로 크기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출력
첫 줄에 터트려져 사라진 인형의 개수를 출력합니다.
예시 입력 1
5
0 0 0 0 0
0 0 1 0 3
0 2 5 0 1
4 2 4 4 2
3 5 1 3 1
8
1 5 3 5 1 2 1 4
예시 출력 1
4
<<풀이>>
시간 복잡도 : O(N^2)
자료구조 : Stack
일단 내가 푼 코드인데 ㅋㅋ 틀렸다 ! 일단 데이터를 가져오고 최종적로 stack 까지는 잘 쌓았다. 하지만, 이제 같은 인형을 삭제하고 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있는 듯 하다ㅠ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util.Scanner;
import java.util.Stack;
class Main {
private int solution(int n, int[][] arr, int m, int[] brr) {
Stack<Integer> stack = new Stack<>();
for(int i = 0; i < m; i++) {
for(int j = 0; j < n; j++) {
if(arr[j][brr[i] - 1] != 0) {
stack.push(arr[j][brr[i] - 1]);
arr[j][brr[i] - 1] = 0;
break;
}
}
}
int stackSize = stack.size();
List<Integer> list = new ArrayList<>();
for(int i = 0; i < stackSize; i++) {
list.add(stack.pop());
}
int cnt = 0;
for(int j = 0; j < list.size() - 1; j++) {
if(list.get(j) == list.get(j+1)) {
list.remove(j);
list.remove(j+1);
cnt += 2;
j=0;
}
}
return cn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ain T = new Main();
Scanner in = new Scanner(System.in);
int n = in.nextInt();
int[][] arr = new int[n][n];
for(int i = 0; i < n; i++) {
for(int j = 0; j < n; j++) {
arr[i][j] = in.nextInt();
}
}
int m = in.nextInt();
int[] brr = new int[m];
for(int k = 0; k < m; k++) {
brr[k] = in.nextInt();
}
System.out.println(T.solution(n, arr, m ,brr));
}
}
-강사님 풀이-
시간 복잡도 : O(N^2)
자료 구조 : Stack
나는 다 Stack에 담고 겹치는 인형을 뺀 반면, 강사님은 그냥 처음 부터 같으면 없애는 식으로 했다. ㅋㅋ
이렇게 해도 전혀 논리적으로 문제 없고 오히려 깔끔하게 계산이 되었다 ㅠㅠ
import java.util.Scanner;
import java.util.Stack;
class Main {
private int solution(int[][] board, int[] moves) {
int answer = 0;
Stack<Integer> stack = new Stack<>();
for (int x : moves) {
for (int j = 0; j < board.length; j++) {
if (board[j][x - 1] != 0) {
int tmp = board[j][x - 1];
board[j][x - 1] = 0;
if (!stack.isEmpty() && tmp==stack.peek()) {
answer += 2;
stack.pop();
}
else stack.push(tmp);
break;
}
}
}
return answ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ain T = new Main();
Scanner in = new Scanner(System.in);
int n = in.nextInt();
int[][] board = new int[n][n];
for (int i = 0; i < n; i++) {
for (int j = 0; j < n; j++) {
board[i][j] = in.nextInt();
}
}
int m = in.nextInt();
int[] moves = new int[m];
for (int i = 0; i < m; i++) moves[i] = in.nextInt();
System.out.println(T.solution(board, moves));
}
}
내가 떠올리지는 못했지만 다음 부터는 나도 이러한 아이디어를 떠올려보자구!
'코딩테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택] 5. 쇠막대기 (1) | 2024.01.13 |
---|---|
[스택] 4. 후위식 계산 (0) | 2024.01.10 |
[스택] 2. 괄호문자제거 (1) | 2024.01.08 |
[스택] 1. 올바른 괄호 (0) | 2024.01.07 |
[TreeSet] 5. K번째 큰 수 (1) | 2024.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