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https
- mysql
-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 #
- 맥
- 맥OS
- sts
-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
- 우리FIS아카데미 #
- jdk
- 글로벌소프트웨어캠퍼스
- 도메인
- 우리FIS아카데미
- 로드밸런스
- 리눅스
- 우리에프아이에스
- 맥북
- 우리에프아이에스 #
- route 53
- HTTP
- dbeaver
- Java
- Gradle
- AWS
- spring
- 우리FISA
- 우리FISA #
- K-디지털트레이닝
- springboot
- M2
- Today
- Total
<<개발일지>>
HTML태그 (Tags) 와 속성 (attribute) 본문
태그(Tag)는 <> 기호로 구성된다.
작성 규칙은, 텍스트(Content)의 앞 뒤에 모두 작성하여 마치 해당 텍스트를 감싸는 것처럼 작성한다,
<tag name> content </tag name>
태그와 content까지 다 합쳐 우리는 요소라고 한다.
HTML 태그는 100여개 이상 존재, 그 중에서 자주 사용되는 태그는 아래와 같다.
링크 : https://www.advancedwebranking.com/seo/html-study
HTML Study - AWR SEO Guide
This study looks at 11 mm index pages gathered from Top 20 Google results to uncover how people write HTML markup as new web tech emerge.
www.advancedwebranking.com
태그는 속성을 가진다.
각각의 태그들은 속성(attribute)을 가지는데, 속성은 Tag별로 고유할 수도 있고, 공통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속성들은 각 Tag별 기능이나 부가 옵션을 제공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tag name attribute = "value"> content </tag name>
href 속성
ex)
<a href = "www.naver.com"> go to Never web </a>
태그 종류와 기능 그리고 속성
<<기능을 가진 태그(Functional Tags):>>
<h1> -- <h6> 태그
6 단계로 구획 제목을 표시합니다. 각각 크기가 다릅니다. 주로 제목에 이용되며, 한 페이지당 h1 하나만 사용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a> 태그
->
속성 :
href : <a href = "www.naver.com"> go to Never web </a>
<img> 태그
속성:
src :
<form> 태그
-> 폼(Form)이란 보통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태그이자 종류를 가르킨다.
주로 <input> 태그와 같이 쓰인다.
<form>
<label for="fname">First name:</label><br>
<input type="text" id="fname" name="fname"><br>
<label for="lname">Last name:</label><br>
<input type="text" id="lname" name="lname">
</form>
* 여기서 <br> 태그는 줄 바꿈 태그이다. 줄을 바꿀 수 있다. 없이 작성시 나란히 적히는 상황이 나온다.
<Input> 태그
-> 입력을 받는 태그 종료 태그가 없다.
<button> 태그
->
<<의미만 가지고 있는 태그(Semantic Tags):>>
<div> 태그
<p> 태그
<header> 태그
<nav> 태그
<main> 태그
<section> 태그
<footer> 태그
'HTML +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 선택자(Selectors) (0) | 2023.11.26 |
---|---|
CSS 스타일 적용 방식 (0) | 2023.11.26 |
작성 규칙 (0) | 2023.11.26 |
의미 기반 태그(Semantic Tag) (0) | 2023.11.26 |
reset css 하는 이유 (1) | 2023.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