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05-01 00:29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개발일지>>

프로토콜_2(HTTP(S), SSL & TSL, Telnet & SSH, DNS) 본문

리팩토링

프로토콜_2(HTTP(S), SSL & TSL, Telnet & SSH, DNS)

개발하는지호 2024. 9. 29. 22:25

 

이번에 HTTP(S), SSL & TSL, Telnet & SSH, DNS 에 대하여 내용을 정리해 보았다. 

 

 

 

[7주차] 프로토콜_2.pdf
1.10MB

 

 

[3줄 요약]

 

1. Telnet 23번 포트를 사용하는 원격 호스트 접속용 프로토콜이다. 보안으로 인해 현재는 SSH를 많이 사용한다. SSH는 22번 포트를 사용하고 있으며 비대칭키 방식으로 진행한다.

 

2. HTTP는 텍스트 기반의 통신 규약으로 주로 웹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80번 포트를 사용하고 있다. 이 역시 평문이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하여 HTTPS를 사용하기도 한다. HTTP와 함께 SSL, TSL 암호화 프로토콜을 같이 이용한다. SSL은 취약점이 발견이 되어 현재는 TLS이 표준이다. HTTPS는 현재 TLS 1.2 이상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1.2 이상은 취약점으로 부터 자유롭다 라고 평가 받는다. 443번 포트를 사용한다. 대칭키와 비대칭키를 섞어 사용한다.

 

3. DNS는 도메인 주소를 IP주소로 변환해주는 서버이다(Local DNS, Root DNS, TLD DNS 를 활용하여 최종 IP를 응답 받는다.). 일반적으로 UD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요청만 주로 하는 형태이지만, 대용량 응답 또는 DNS 서버와의 동기화 과정에서는 TCP 프로토콜을 이용하기도 한다.

 

 

 

 

 

 

이번 시간으로 해당 프로토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었다.

 

프로토콜은 정말 많고 내용도 방대하다.

 

꾸준히 하나씩 알아가면서 내 것으로 만들도록 하겠다.

'리팩토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탐, 오탐, 미탐 그리고 악성코드 종류와 대표적인 사례  (2) 2024.10.26
Firewall, DDoS, IDS, IPS  (0) 2024.10.12
프로토콜_1((S)FTP, SMTP & POP3 & IMAP, ICMP)  (1) 2024.09.23
OSI 계층 별 장비  (5) 2024.09.08
TCP/UDP  (1) 2024.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