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와 타입02_2 기본 타입]
by 개발하는지호정수 타입 : byte, short, int, long
char 타입 : 작은 따옴표(')로 감싼 하나의 문자 리터럴을 저장할 수 있는 타입
String 타입 : 큰 따옴표(")로 감싼 문자열을 저장할 수 있는 타입
실수 타입 : 실수를 저장할 수 있는 타입으로 float, double 타입
boolean 타입 : 참과 거짓을 의미하는 true와 false를 저장할 수 있는 타입
리터럴 : 소스 코드에서 프로그래머에 의해 직접 입력된 값을 말한다.
[주의]
-정수 타입에서 long 타입은 숫자 뒤에 L을 붙인다.
-실수 타입에서 float을 입력할 경우 값에 f를 마지막에 붙인다. 기본적으로 double로 인식 되기 때문이다.
-e같은 경우는 실수일 때 이용이 된다.
[ex]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name = "홍길동";
String job = "프로그래머";
System.out.println(name);
System.out.println(job);
//이스케이프 문자
String str = "나는 \"자바\"를 좋아한다.";
System.out.println(str);
String str1 = "번호\t이름\t나이";
System.out.println(str1);
String str2 = "홍길동\n감자바";
System.out.println(str2);
//실수 타입
//float var = 3.14; 기본적으로 실수 리터럴은 double 타입으로 해석하기 때문에 double 타입 변수에 저장해야 한다.
double var1 = 3.14;
double var2 = 314e-2;
float var = 3.14f;
float var3 = 3E6F;
//정밀도 테스트
float var4 = 0.1234567890123456789f;
double var5 = 0.1234567890123456789;
System.out.println("var4 = " + var4);
System.out.println("var5 = " + var5);
//e 사용
double var6 = 3e6;
float var7 = 3e6F;
double var8 = 2e-3;
System.out.println("var6 = " + var6);
System.out.println("var7 = " + var7);
System.out.println("var8 = " + var8);
//논리 타입
boolean stop = true;
if (stop) {
System.out.println("중지합니다.");
} else {
System.out.println("시작합니다.");
}
}
}
'개발 지식, 스크립트 > Java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참조(혼공자) (0) | 2023.09.22 |
---|---|
4.반복문과 조건문(혼공자) (0) | 2023.09.20 |
3.연산자(혼공자) (0) | 2023.09.16 |
[변수와 타입 02-4 변수와 시스템 입출력] (0) | 2023.09.07 |
[변수와 타입 02_1 변수] (0) | 2023.09.06 |
블로그의 정보
DevSecOps
개발하는지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