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aaS인 EC2 인스턴스 생성과 서버 연결
by 개발하는지호이번 수업 때는 IaaS 기법을 사용했는 EC2 서버에서 우리가 만든 소프트웨어를 배포해보는 실습시간을 가졌다.
1. EC2 인스턴스 생성과 서버 생성 순서
1. 우선 인스턴스를 생성해야 한다. 인스턴스 시작을 눌려준다.
2. Ubuntu 리눅스를 사용할 것이므로 Ubuntu를 클릭해주고 AMI를 아래와 같은 걸로 선택해준다.
3. 그 다음 키페어를 설정해줘야하는데 만들었던 나의 키 페어를 검색해서 추가 해준다.
4. 기존 보안 그룹 선택으로 설정해 주고 일반 보안 그룹 역시 아래와 같이 내 것을 찾아 넣어준다.
5. 그리고 최종적으로 인스턴스 시작으로 인스턴스를 생성해준다.
6. 인스턴스를 생성하면 아래와 같이 생성이 된다. (나는 여러 번 생성했기 때문에 4개이다)
7. 사용하고자 하는 인스턴스에 들어가서 인스터 상태를 시작으로 변경해주고 실행시킨다.
8. 실행을 시키면 아래에 ssh ~~ 을 볼 수 있는데 이를 복사한다.
9. 터미널에서 나의 rsa 키가 있는 폴더로 경로로 이동을 한다.
10. 그리고 sudo 를 붙인 뒤 아까 복사한 ssh를 붙여놓고 실행시킨다.
11. 그러면 최종적으로 Ubuntu 기반 EC2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클라우드 시큐리티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WAF 의 개념 (4) | 2024.03.05 |
---|---|
로드 밸런싱의 개념 (3) | 2024.03.05 |
AWS 란 (3) | 2024.02.25 |
apt 와 yum 그리고 homebrew의 brew (2) | 2024.02.24 |
AWS gradle 빌드 및 EC2 배포 -정리 중- (1) | 2024.02.23 |
블로그의 정보
DevSecOps
개발하는지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