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시큐리티
클라우드 아키텍처 구조 파악을 통해 아키텍처 구조 이해
개발하는지호
2025. 4. 5. 20:12
Object. 클라우드 아키텍처 구조 파악을 통해 아키텍처 구조 이해
클라우드 아키텍처(Cloud Architecture) 정의
클라우드 아키텍쳐(Cloud Architecture)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설계, 배포 및 관리하는 구조를 의미한다. 이는 컴퓨팅, 네트워크,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보안, 모니터링 등의 요소를 포함하며, 기업이 클라우드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클라우드 아키텍처는 서비스 모델과 배포 모델로 나뉘며, 각각 다양한 방식으로 클라우드를 설계하고 운영하는 기준이 된다.
1.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서비스 모델 | 설명 | 사용자가 관리하는 부분 | 제공 예시 |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가상 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 등 기본 인프라 제공 | OS, 애플리케이션 | AWS EC2, Google Compute Engine, Azure VMs |
PaaS (Platform as a Service) | 개발 플랫폼과 실행 환경 제공 | 애플리케이션 | AWS Elastic Beanstalk, Google App Engine, Azure App Service |
SaaS (Software as a Service) |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 제공 | 없음 (완전 관리형) | Google Drive, Gmail, Dropbox |
2. 클라우드 배포 모델 (Cloud Deployment Models)
배포 모델 | 설명 | 사용 예시 |
퍼블릭 클라우드 (Public Cloud) | AWS, GCP, Azure 등 클라우드 제공업체의 인프라 사용 | 스타트업, 웹 애플리케이션 |
프라이빗 클라우드 (Private Cloud) | 기업 내부에서 운영하는 클라우드 환경 | 금융, 의료, 보안이 중요한 산업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Hybrid Cloud) | 퍼블릭 + 프라이빗 조합 | 기업의 온프레미스 서버와 클라우드 연결 |
멀티 클라우드 (Multi-Cloud) | 여러 클라우드 (AWS, GCP, Azure)를 조합 | 벤더 종속성 회피, 고가용성 |
클라우드 (Cloud)와 온프레미스(On-Premise)는 IT 인프라를 운영하는 방식에서 큰 차이가 있다.
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 비교
비교 항목 | 클라우드(Cloud) | 온프레미스 (On-Premise) |
초기 비용 | 낮음 (사용량 기반 종량제) | 높음 (서버, 네트워크, 데이터센터 구축 비용) |
운영 비용 | 사용량에 따라 유동적 | 유지보수, 전력, 인력 등 지속적 비용 발생 |
확장성 | 자동 확장 가능 (Auto Scaling) | 수동 확장 (서버 추가 설치 필요) |
배포 속도 | 빠름 (몇 분 ~ 몇 시간 내 배포 가능) | 느림 (하드웨어 구매 및 설정 필요) |
유지보수 | 클라우드 제공업체가 관리 | 직접 관리 (서버 유지보수, 패치, 업그레이드 필요) |
보안 | 보안 서비스 제공 (IAM, 암호화) | 높은 보안 가능 (직접 컨트롤 가능) |
데이터 소유권 | 클라우드 제공업체에 저장 (벤터 종속성 가능) | 기업 내부 서버에 직접 저장 |
가용성 | 글로벌 데이터센터 활용 가능 | 단일 데이터센터 장애 시 다운 가능 |
컴플라이언스 | 특정 산업 규제 준수 가능 (AWS, Azure, GCP 등 지원) | 보안 및 규제 직접 관리 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