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mod 755 ~ 의 의미
공개키 비밀키 관련해서 서로 접속하는 과정에서 권한 문제로 비밀번호를 쳐서 들어가야 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stackoverflow를 참고한 결과, 우선 비밀번호를 통해 접속한 후에 chmod 755 ~ 를 입력하여 권한을 변경하면 된다고 했다.
https://unix.stackexchange.com/questions/205842/unable-to-login-with-ssh-rsa-key
Unable to login with SSH-RSA key
This post is following this question : Authentication refused: bad ownership or modes for file /var/git/.ssh/authorized_keys . The issue as exposed there is solved (about files modes of the ...
unix.stackexchange.com
그렇다면 chmod 755 ~ 는 무슨의미일까!?
명령어 chmod 755 ~의 의미는 사용자 홈 디렉토리에 대한 권한을 설정하는 것입니다. 이 명령어는 홈 디렉토리 ~의 권한을 755로 설정합니다.
chmod 명령어의 구성 요소:
- chmod : change mode의 약자로,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 755 : 설정할 권한을 나타내는 숫자입니다.
- ~ : 현재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를 나타내는 경로입니다.
권한 숫자 755의 의미:
권한 숫자는 세 자리로 구성되며, 각 자리는 소유자, 그룹, 다른 사용자에 대한 권한을 나타냅니다.
- 첫 번째 숫자 7 : 소유자(owner)에게 부여된 권한
- 4 (읽기) + 2 (쓰기) + 1 (실행) = 7 (rwx)
- 두 번째 숫자 5 : 그룹(group)에게 부여된 권한
- 4 (읽기) + 0 (쓰기) + 1 (실행) = 5 (r-x)
- 세 번째 숫자 5 : 다른 사용자(others)에게 부여된 권한
- 4 (읽기) + 0 (쓰기) + 1 (실행) = 5 (r-x)
따라서 chmod 755 ~는 사용자 홈 디렉토리에 다음과 같은 권한을 설정합니다:
- 소유자(owner)는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가집니다.
- 그룹(group)은 읽기 및 실행 권한을 가집니다.
- 다른 사용자(others)는 읽기 및 실행 권한을 가집니다.
실제 명령어의 예: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현재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의 권한이 위에서 설명한 대로 설정됩니다.
예제:
만약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가 /home/username이라면, 다음과 같은 권한이 설정됩니다:
여기서:
- d는 디렉토리를 나타냅니다.
- rwx는 소유자 권한을 나타냅니다.
- r-x는 그룹 권한을 나타냅니다.
- r-x는 다른 사용자 권한을 나타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