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04-30 05:35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개발일지>>

iconv 명령어 본문

리눅스

iconv 명령어

개발하는지호 2024. 11. 3. 23:59

iconv

이 명령어는 파일의 인코딩을 변환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한글 파일이 EUC-KR로 인코딩되어 있을 때, 이를 UTF-8로 변환하여 다른 시스템이나 애플리케이션에서도 읽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주로 리눅스와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에서 사용된다.

 

 

기본 구문

iconv -f <원본 인코딩> -t <변환할 인코딩> <입력 파일> -o <출력 파일>

 

  • -f : 원본 파일의 인코딩을 지정한다.
  • -t : 변환할 인코딩을 지정한다.
  • <입력 파일> : 인코딩을 변환할 대상 파일이다.
  • -o : 변환된 결과를 저장할 파일을 지정한다.

 

예시

 

1. EUC-KR에서 UTF-8로 변환

iconv -f EUC-KR -t UTF-8 input.txt -o output.txt
  • input.txt 파일을 EUC-KR에서 UTF-8로 변환하고, 결과를 output.txt에 저장한다.

 

2. UTF-16에서 UTF-8로 변환 후 표준 출력에 표시

iconv -f UTF-16 -t UTF-8 input.txt
  • input.txt 파일을 UTF-16에서 UTF-8로 변환하고 결과를 표준 출력(터미널)에 표시한다.

 

3. EUC-KR로 인코딩된 input.csv 파일을 UTF-8로 변환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사용해야한다.(csv 파일도 가능하다.)

iconv -f EUC-KR -t UTF-8 input.csv -o output.csv

 

 

 

4. 여러 파일 변환

  • 여러 파일을 변환할 경우 for 문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for file in *.txt; do
    iconv -f EUC-KR -t UTF-8 "$file" -o "utf8_$file"
done

 

 

인코딩 확인하기

 

파일의 인코딩이 확실하지 않다면 file 명령을 사용해 확인할 수 있다.

file -i <파일명>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du와 ls의 차이  (2) 2024.11.18
폴더의 정확한 의미  (2) 2024.09.05
리눅스에서의 export의 의미와 bash_profile의 활용  (0) 2024.07.05
alias(별칭)란?  (0) 2024.07.03
chmod 755 ~ 의 의미  (0) 2024.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