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우리에프아이에스
- https
- 우리FIS아카데미 #
- 우리FIS아카데미
- 맥북
- mysql
- 맥
- K-디지털트레이닝
- jdk
- 맥OS
- route 53
- springboot
-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 #
- dbeaver
- HTTP
- AWS
- spring
- 글로벌소프트웨어캠퍼스
- 우리에프아이에스 #
- 도메인
- Java
- M2
- Gradle
- 우리FISA
- 리눅스
- 우리FISA #
- 로드밸런스
- sts
-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
- Today
- Total
<<개발일지>>
Sudo 명령어란? 본문
보통 Linux 서버를 운영하면, 관리자 계정과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나뉘어져 운영하게 된다.
관리자 계정은, 보통 root 계정이고 사용자 계정은 운영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 or 개발자에게 개별적으로 할당하는 계정이다.
그런데, 리눅스 서버에 서비스를 운영하다보면, 일반 사용자 계정을 사용하는 사람도 때에 따라서 관리자의 권한이 필요할 때가 있다.
이때, 일반 사용자는 su 명령어를 통해서 root 권한으로 로그인하여 관리자 계정으로 재로그인 할 수도 있지만, sudo 라는 명령으를 통해서 임시적으로 root 권한을 가질 수 있다.
sudo 명령어는 유닉스 및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에서, 다른 사용자의 보안 권한, 보통 슈퍼유저로서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명령어이다. 명칭은 본래 슈퍼유저로서의 실행에 사용되던 것에서 “superuser do”에서 유래하였으나, 후에 프로그램의 기능이 확장되며 “substitute user do”(다른 사용자의 권한으로 실행)의 줄임 말로 해석되게 되었다.
기본적으로 sudo는 사용자 비밀번호를 요구하지만 루트 비밀번호가 필요할 수도 있고, 한 터미널에 한 번만 입력하고 그 다음부터는 비밀번호가 필요가 없다. sudo는 각 명령어 줄에 사용할 수 있으며 일부 상황에서는 관리자 권한을 위한 슈퍼유저 로그인(superuser login)을 완벽히 대신한다. 주로 우분투, 리눅스와 맥os에서 볼 수 있다.
sudo라는 명령어를 막연하게 permission 때문에 사용해 왔다. 하지만 이번 계기로 조금 더 개념적으로 이해할 수 있고 왜 사용하는지 알 수 있었다.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본 저장소, 외부 저장소 (0) | 2024.06.24 |
---|---|
-bash: ./startup.sh: /bin/bash^M: bad interpreter: No such file or directory (0) | 2024.06.16 |
Linux 파일 시스템과 파일과 관련된 기본 명령어 (1) | 2024.03.26 |
리눅스의 몇 가지 명령어와 커맨드 라인 조작 단축키(맥) (0) | 2024.03.24 |
리눅스 운영체제의 기본 인터페이스 (0) | 2024.03.24 |